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1954년 천일버스, 삼양시내버스가 설립된 이후 여러 운송 업체의 설립과 합병, 노선 개편을 거쳐 현재 10개 업체가 운영하고 있다. 2006년 준공영제 실시와 함께 노선별 고정 배차와 무료 환승이 확대되었으며, 좌석, 급행, 간선, 지선, 시티투어, 마을버스로 구분된다. 버스 번호는 생활권명과 숫자로 구성되며, 교통카드 사용 및 환승 제도가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버스 교통 - 유스퀘어
유스퀘어는 광주광역시 광천동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종합 버스터미널로,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버스 노선과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이지만, 도시철도와의 연계는 미흡하다. - 광주광역시의 버스 교통 - 문화동시외버스정류장
문화동시외버스정류장은 전라남도 담양군 문화리에 위치하며, 호남권 방면으로 여러 지역에 운행하는 시외버스 정류장이다. - 광주광역시의 교통 - 광주공항
광주공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공항으로, 과거 국제선 노선도 운영했으나 현재는 국내선 노선만 운영하며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공항역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광주광역시의 교통 - 무안국제공항
무안국제공항은 전라남도 무안군에 위치하며, 1940년대 비행장 건설을 시작으로 광주공항 국제선 기능 통합 등을 거쳐 현재 여객 및 화물 터미널, 활주로를 갖추고 운영되고 있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 |
---|---|
버스 정보 | |
지역 | 광주광역시 |
구분 | 시내버스 |
![]() | |
관리 기관 | 광주광역시청 대중교통과 |
서비스 지역 | 광주광역시 |
기타 지역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담양군 나주시 장성군 화순군 |
노선 수 | 101 |
비고 | 마을버스를 포함하면 115개 노선이다. |
인가 대수 | 1,044 |
결제 |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한페이 마이비카드 캐시비 레일플러스 원패스 티머니 |
후불 카드 | 광주은행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 |
2. 역사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1954년 천일버스와 삼양시내버스 설립을 시작으로 발전해왔다.[3][4] 1966년에는 대창운수와 현대교통이 설립되었다. 1974년에는 5개 업체가 41개 노선, 494대로 공동운수협정을 맺었다.[5]
이후 여러 운수회사가 설립되고, 노선이 나주까지 연장되기도 했다. 1997년에는 시내버스 번호체계를 3자리 숫자로 바꾸었다가 1998년에 다시 환원했다. 2001년에는 천연가스버스가 도입되었고,[9] 2003년에는 좌석버스가 고급화되었다.[10] 2004년에는 노선 개편과 함께 무료 환승이 시행되었고, 저상버스도 도입되었다.
2. 1. 연혁
날짜 | 내용 |
---|---|
1954년 9월 23일 | 천일버스[3], 삼양시내버스[4] 설립 |
1966년 1월 20일 | 대창운수 설립 |
1966년 3월 3일 | 현대교통 설립 |
1974년 10월 7일 | 광주시내버스 공동운수협정 인가 (5개 업체, 41개 노선, 494대)[5] |
1980년 3월 3일 | 동양운수[6] 설립 |
1985년 6월 5일 | 대진운수 설립 |
1987년 2월 28일 | 삼아교통 설립 |
1989년 2월 28일 | 동화운수 설립 |
1992년 6월 1일 | 대광시내버스[7] 설립 |
1995년 6월 30일 | 광주시내버스[8], 나주 시내까지 연장 운행 |
1997년 7월 1일 | 시내버스 번호체계 개편 (모든 노선번호를 출발지-경유도로-도착지의 3자리수로 변경) |
1998년 10월 1일 | 시내버스 번호체계 환원 |
2001년 6월 8일 | 천연가스버스 도입[9] |
2003년 6월 1일 | 좌석버스 고급화[10] |
2004년 10월 10일 | 노선개편 및 무료환승 시행 |
2004년 10월 29일 | 대원시내버스 설립 |
2005년 2월 6일 | 저상버스 도입 |
2006년 12월 21일 | 준공영제 및 노선별 고정배차 실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노선개편, 무료환승 확대[11] |
2007년 2월 8일 | 2차 노선 조정 |
2009년 1월 1일 | 삼양시내버스, 순천교통에 매각, 을로운수 설립[12] |
2009년 11월 5일 | 동양운수에서 세영운수로 사명 변경 |
2009년 12월 14일 | 대광시내버스에서 라정시내버스로 사명 변경 |
2012년 9월 1일 | 현대교통, 을로운수에 인수, 계열사 편입[13] |
2014년 7월 29일 | 삼아교통, 현대교통 차고지 병합과 동시에 인수, 계열사 편입[14] |
2017년 1월 26일 | 천일버스에서 삼원운수로 사명 변경 |
2. 2. 준공영제 도입
2006년 12월 21일에 준공영제가 실시되었으며, 노선별 고정 배차제 시행, 무료 환승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다.[11]3. 노선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번호는 생활권명과 2~3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급행버스는 좌석02번을 제외하고 모두 도시형버스로 운행한다.
버스 번호는 '생활권명 + (시외/공영구분) + 권역번호 +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노선 종류에 따른 번호는 다음과 같다.
구분 | 번호 |
---|---|
급행간선노선 | 01~09 (주요 지점만 경유) |
간선노선 | 10~49 (지역별 대생활권 연결) |
지선노선 | 50~99 (광주광역시 내 운행) |
지선노선 | 100~199 (시계 외 운행 노선) |
지선노선 | 200~299 (완전공영노선)[15] |
지선노선 | 228, 419, 518, 1187, 1187-1 (특수노선, 생활권명 없음)[16] |
좌석버스는 무등산국립공원에서 광주역, 유스퀘어, 광주광역시청, 광주송정역을 거쳐 도산동과 나주 혁신도시까지 운행하는 좌석02번 노선 하나만 있다.[17]
간선과 지선 노선의 구분은 [https://web.archive.org/web/20140302102009/http://bus.gjcity.net:7001/app/map/main.jsp?menu=2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를 기준으로 하며, 공영 노선 및 특수 노선은 지선 노선에 포함된다.
3. 1. 번호 체계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번호 체계는 생활권명과 2~3자리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 부산, 대구에서 급행버스가 좌석버스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광주광역시는 좌석02번 1개 노선을 제외하고는 대전처럼 도시형버스로 급행버스를 운영한다.버스 번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생활권명 + (시외/공영구분) + 권역번호 + 일련번호
노선 종류에 따른 번호는 다음과 같다.
구분 | 번호 |
---|---|
급행간선노선 | 01~09 (주요 지점만 경유) |
간선노선 | 10~49 (지역별 대생활권 연결) |
지선노선 | 50~99 (광주광역시 내 운행) |
지선노선 | 100~199 (시계 외 운행 노선) |
지선노선 | 200~299 (완전공영노선)[15] |
지선노선 | 228, 419, 518, 1187, 1187-1 (특수노선, 생활권명 없음)[16] |
간선과 지선 노선의 구분은 [https://web.archive.org/web/20140302102009/http://bus.gjcity.net:7001/app/map/main.jsp?menu=2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이때 공영 노선 및 특수 노선은 지선 노선에 속한다.
좌석버스의 경우 무등산국립공원에서 광주역, 유스퀘어, 광주광역시청, 광주송정역을 거쳐 도산동과 나주 혁신도시까지 운행하는 좌석02번 노선 한 개만이 존재한다.[17]
3. 2. 노선 목록
구분 | 노선 |
---|---|
좌석 | 좌석02 |
급행 | 순환01, 수완03, 매월06, 진월07, 첨단09 |
간선 | 일곡10, 수완12, 선운14, 지원15, 매월16, 진월17, 문흥18, 송정19, 첨단22, 첨단23, 지원25, 매월26, 봉선27, 일곡28, 송정29, 첨단30, 송암31, 금호36, 봉선37, 일곡38, 문흥39, 지원45, 금호46, 송암47, 운림50, 운림51, 운림54, 금남58, 첨단95, 송정98 |
지선 | 첨단20, 송정33, 운림35, 첨단40, 수완49, 지원52, 문흥53, 금남55, 지원56, 금남57, 금남59, 양산60, 매월61, 상무62, 상무63, 상무64, 유덕65, 송암68, 대촌69, 대촌70, 대촌71, 송암72, 송암73, 송암74, 진월75, 봉선76, 진월77, 진월78, 진월79, 문흥80, 두암81, 용봉83, 용전84, 용전85, 용전86, 석곡87, 임곡89, 임곡90, 임곡91, 첨단92, 송정93, 첨단94, 송정96, 송정97, 송정99, 송정100, 선운101, 지원152, 대촌170, 진월177, 두암181, 용전184, 충효187, 충효188, 첨단192, 첨단193, 진곡196, 송정197, 대촌270, 임곡290, 송정296, 228, 419, 518, 1187, 1187-1 |
시티투어 | 광주시티투어버스 |
마을 | 700, 701, 713, 714, 715, 720, 720-1, 760, 763, 777, 788, 799 |
3. 3. 인접 시·군 노선
지역 | 노선 |
---|---|
나주 | 160, 1160, 600번대, 999, 999-1 |
담양 | 농어촌(225 · 303), 좌석(311 · 322) |
장성 | 100 · 101 · 102 · 103 · 104 · 106 · 107 |
화순 | 200 · 200-1 · 216 · 217 · 217-1 · 218 · 218-1 · 318 · 318-1 |
함평 | 500 |
4. 운임
위 표는 2016년 8월 1일에 시행된 시내버스 운임이며, 환승 운임 및 시계외 운임은 포함되지 않았다.
4. 1. 운임 체계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준공영제 실시와 동시에 좌석02번을 제외한 모든 좌석버스 제도가 폐지되어 도시형 버스로 운영된다. 따라서 운임은 버스 등급에 따라 차이가 없다. 승차권은 2008년 1월 1일부로 발매가 중단되었으며, 같은 해 6월 30일까지만 사용할 수 있었다. 혹시 아직도 승차권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광주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으로 문의하면 환불받을 수 있다.[18]공항버스 1000번은 어린이 요금이 없고, 어린이도 청소년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구분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
좌석버스 | 1800KRW | 1700KRW | 1500KRW | 1350KRW | 1000KRW | 850KRW |
간선버스 | 1400KRW | 1250KRW | 1000KRW | 800KRW | 500KRW | 400KRW |
지선버스 | 1400KRW | 1250KRW | 1000KRW | 800KRW | 500KRW | 400KRW |
마을버스 | 1400KRW | 1250KRW | 1000KRW | 800KRW | 500KRW | 400KRW |
공항버스 | - |
위 표는 2016년 8월 1일에 시행된 시내버스 운임이며, 환승 운임 및 시계외 운임은 포함되지 않았다.
4. 2. 시계외 운임
광주광역시 경계선을 넘을 때부터 추가운임을 받으며, 이전에는 광주 시계외권[19]으로 갈 때는 구간운임제로 운행하였으나 2006년 12월 21일부터 거리비례제로 변경하여 운행한다. 시계외 운임은 광주광역시 경계부터 2km당 성인은 140KRW, 청소년 및 초등생은 71.4KRW씩 추가된다.4. 3. 교통카드
2004년 10월 10일부터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20] 현금을 먼저 충전한 뒤에 사용하는 선불제 교통카드와 이용한 뒤 운임을 정산하는 후불제 교통카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교통카드도 일부 사용이 가능하다.선불 교통카드는 광주광역시에서 충전과 사용이 가능한 마이비카드의 한 종류인 빛고을카드, 한페이카드, 캐시비카드, 티머니카드, 레일플러스카드, 원패스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초기에는 마이비카드 중에서도 광주광역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빛고을카드만 가능하였으며, 다른 지역 마이비카드와 캐시비카드는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광주은행과 롯데정보통신 합작으로 전국호환 교통카드 규격을 개발하여 2011년 한페이카드를 도입하였고, 2013년 7월 19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간 상호 광역 환승제를 도입하게 되면서 캐시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14년 코레일의 레일플러스와 대구의 원패스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티머니는 2016년 1월 30일부터 이용할 수 있다.
후불 교통카드는 광주은행, KB, 농협, 롯데, BC, 삼성, 신한, 외환, 하나, 현대카드가 사용된다.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요금 지불 시 성인은 "감사합니다", 청소년은 "반갑습니다", 어린이는 "안녕하세요"라는 멘트가 나온다.
4. 4. 환승 제도
2004년 10월 10일에 최초로 도입된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환승 제도는 초기에는 1시간 이내 1회 무임 환승, 마을버스 및 광주 도시철도와 환승 불가 등의 제약이 있었다. 2006년 12월 21일부터 마을버스 및 도시철도 환승, 횟수 제한 폐지 등의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전라남도 차적 버스와의 환승 불가, 1시간 이내 환승 제한 등의 문제는 여전했다.[19]2013년 7월 19일 광주광역시와 인근 전라남도 지역 간 광역환승할인제 시행으로 환승 방식(최초 하차 후 30분 이내) 및 범위(전라남도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 포함)가 개선되었다. 광역환승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19]
구분 | 내용 |
---|---|
조건 | 교통카드 사용 시에만 가능 |
시내 환승 | 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 마을버스 간 횟수 제한 없는 무임 환승 |
광역 환승 | 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마을버스/도시철도와 전라남도 시내버스/농어촌버스 간 1회 환승 할인 (50%) |
광역 환승 운임 | 성인 630KRW, 청소년 400KRW, 초등생 200KRW |
기타 |
4. 4. 1. 시내 환승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환승제도는 2004년 10월 10일에 최초로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에는 최초 승차 후 1시간 이내에 환승하면 무임으로 환승이 가능했고, 횟수 제한은 1회였으나 마을버스, 광주 도시철도와는 환승이 불가능하였다. 그 후 2006년 12월 21일부터 마을버스 및 광주 도시철도에도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환승 횟수 제한은 없어졌다. 하지만 이 환승제도는 광주광역시 차적의 시내버스 노선과 광주 도시철도만 해당되었으며, 광주광역시 지역을 운행하는 전라남도 차적의 타 지역 시내버스는 환승할 수 없었다. 또한 승차 후 1시간 이내에 환승해야 했기 때문에 장시간 시내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19]2013년 7월 19일부터 광주광역시와 인근 전라남도 지역 광역환승할인제를 시행하게 되면서 환승 방식이 최초 승차 1시간 이내에서 최초 하차 후 30분 이내로 변경되었다. 또한 범위도 인근 전라남도의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가 포함되어 이들 버스 노선도 환승 할인 혜택을 받게 되었다. 새로 시행된 광역환승할인제를 이용할 때 다음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19]
- 환승은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 기존 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와 광주 도시철도, 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간 환승은 시내 환승이 되어 횟수 제한이 없으며, 무임 환승이 그대로 적용된다.
- 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인근 전라남도 지역의 시내버스·농어촌버스 간 환승 시 광역 환승이 되어 1회만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 광역 환승할 경우 운임이 50% 할인되어 성인은 630KRW, 청소년은 400KRW, 초등생은 200KRW이 지불된다.
- 광역 환승 및 시내 환승을 할 때는 반드시 내리기 전에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어야 한다.
- 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이용하고 최종으로 내려 환승하지 않을 때는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지 않아도 된다.
- 시계 외 운임은 환승 할인 대상이 아니므로 추가 운임은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 출발지와 목적지가 모두 광주광역시 시 경계 내일 때는 전라남도 농어촌버스와 광역 환승이 불가능하여 새로 운임을 지불하게 된다.
- 이용하는 교통수단 간의 기본 운임 차이가 날 경우 이용하는 교통수단 중 가장 높은 운임을 기본 운임으로 지불한다.
- 광역 환승 후 버스에서 내릴 때 교통카드를 찍지 않고 내릴 경우 할인받았던 운임이 페널티 운임이 되어 다음 승차 시 추가로 지불하게 된다.
4. 4. 2. 광역 환승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환승제도는 2004년 10월 10일에 처음 도입되었다. 처음에는 최초 승차 후 1시간 이내, 1회에 한하여 무료 환승이 가능했고, 마을버스, 광주 도시철도와는 환승할 수 없었다. 2006년 12월 21일부터 마을버스 및 광주 도시철도에도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고, 환승 횟수 제한도 없어졌다. 그러나 이 환승제도는 광주광역시 면허의 시내버스 노선과 광주 도시철도에만 적용되었고, 광주광역시 지역을 운행하는 전라남도 면허의 타 지역 시내버스는 환승할 수 없었다. 또한 승차 후 1시간 안에 환승해야 했기 때문에 장시간 시내버스를 이용할 경우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2013년 7월 19일부터 광주광역시와 인근 전라남도 지역[19] 간 광역환승할인제가 시행되면서 환승 방식이 최초 하차 후 30분 이내로 변경되었다. 또한 인근 전라남도의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도 포함되어 이 버스 노선들도 환승 할인 혜택을 받게 되었다. 새로 시행된 광역환승할인제를 이용할 때 다음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 환승은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 기존 광주광역시 면허 시내버스와 광주 도시철도, 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간 환승은 시내 환승이 되어 횟수 제한이 없으며, 무료 환승이 그대로 적용된다.
# 광주광역시 면허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인근 전라남도 지역의 시내버스·농어촌버스 간 환승 시 광역 환승이 되어 1회만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 광역 환승할 경우 운임이 50% 할인되어 성인은 630KRW, 청소년은 400KRW, 초등생은 200KRW이 지불된다.
# 광역 환승 및 시내 환승을 할 때는 반드시 내리기 전에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어야 한다.
# 광주광역시 면허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이용하고 최종으로 내려 환승하지 않을 때는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지 않아도 된다.
# 시계외 운임은 환승 할인 대상이 아니므로 추가 운임은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 출발지와 목적지가 모두 광주광역시 시 경계 내일 때는 전라남도 농어촌버스와 광역 환승이 불가능하여 새로 운임을 지불하게 된다.
# 이용하는 교통수단 간의 기본 운임 차이가 날 경우 이용하는 교통수단 중 가장 높은 운임을 기본 운임으로 지불한다.
# 광역 환승 후 버스에서 내릴 때 교통카드를 찍지 않고 내릴 경우 할인받았던 운임이 페널티 운임이 되어 다음 승차 시 추가로 지불하게 된다.
5. 운영 업체
운행업체 | 면허 대수 | 주소 | 면허 일자 |
---|---|---|---|
대원버스 | 67 | 서구 유덕로51번길 6 | 2004년 10월 29일 |
대진운수 | 55 | 북구 하서로 768 | 1985년 6월 5일 |
대창운수 | 334 | 북구 첨단과기로 240 | 1966년 1월 20일 |
동화운수 | 70 | 동구 남문로 333 | 1989년 2월 28일 |
라정버스 | 55 | 광산구 평동산단외로 185 | 1992년 6월 1일 |
삼아교통 | 53 | 광산구 동곡로 411-7 | 1987년 2월 28일 |
세영운수 | 75 | 남구 송암로98번길 11 | 1980년 3월 3일 |
을로운수 | 185 | 남구 송암로24번나길 12 | 1954년 9월 23일 |
삼원운수 | 60 | 북구 불태3로 3 | 1954년 9월 23일 |
현대교통 | 82 | 광산구 동곡로 411-7 | 1966년 3월 3일 |
총 10개 업체 | 998 | colspan=2| |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간행물
'광주시내버스 공동배차 및 농어촌버스 개선방안 연구'
광주전남발전 연구원
2004-12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뉴스
광주 천연가스 시내버스 첫선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1-06-08
[10]
뉴스
광주시내 좌석버스 7월부터 리무진형 교체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3-05-29
[11]
뉴스
광주시내버스 준공영제 21일부터…카드 한장에 환승 OK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6-12-14
[12]
뉴스
‘55년 광주의 발’ 삼양버스 퇴장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1-08
[13]
뉴스
현대교통, 을로운수에서 인수
http://gjdream.com/v[...]
광주드림
2012-09-07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뉴스
혁신도시~광주 버스노선 신설 광주-나주시 지루한 줄다리기
http://www.jnilbo.co[...]
전남일보
2015-02-18
[18]
웹인용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 - 버스운임안내
https://web.archive.[...]
2013-08-30
[19]
문서
[20]
뉴스
광주시 교통카드 도입 시행 첫날 표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10-10
[21]
간행물
광주조합 업체현황
http://www.bus.or.kr[...]
전국버스운송조합
201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